일전에 로렌스 어탐에 대해 하나 구입한다고 글 올린적이 있지요.
이번에 어탐에 대해 좀더 알아보면서 나온것들이 있어 몇자 적습니다.
예전엔 어탐고 쉽게 생각했는데 그런건 또 아니더라구요.
자기 낚시와 용도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는걸 또 알게 되었습니다.
1. 어탐의 주파수별 특징..
일반적으로 듀얼빔 어탐 혹은 저가 싱글빔에서 쓰는 어탐은 주파수가 83 / 200 입니다.
왜그럴까.. 참 궁금해했었는데..
요번에 제가 구입하는 다운스트럭쳐 이미지 어탐은 455 / 800 입니다.
이것도 궁금했는데...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는 커버할 수 있는 폭이 넓고 대신 같은 출력이면 더 깊이 들어갈 수 있고 응답이 빠릅니다.
해서 보급형 저가 어탐은 적은 출력에서 움직여야 하니 83/200을 벗어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대신에 폭넓은 데이터를 한번에 받아야 하니.. 화면이 칙칙하죠.. 요령이 없으면 사물의 분간이 쉽지 않습니다.
높은 주파수는 폭이 좁고 해상력이 높은 반면 실효 수심이 낮고 반응이 느려 고속에서는 제대로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지요.
하여 다운 이미징시에도 800이 좀더 바닥은 세밀하게 나오는 반면 깊이나 속도를 고려하면 455 를 써야 합니다.
같은 마크 5 계열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이 마크 5X pro 가 83/200 인데 요놈은 실효수심이 150 미터까지 가는 반면에
제가 산 마크5 dsi 는 실효 수심이 70미터 정도입니다. 최적속도도 12~15km/h 로 느린 편입니다.
( 이래야 사진같은 이미지가 나와요 )
고가의 어탐으로 갈 수록 출력의 차이가 있지 주파수 특성은 동일합니다.
2. 용도별 어탐 선택
자기가 주로 어느지역을 다니느냐에 따라 어탐을 달리 골라야 할것 같습니다.
저같이 작은 배로 주로 서해 - 남해를 다닐 계획이거나 혹은 배스낚시를 즐기시는 분들은..
이미지 소나를 장만하시면 좋겠죠. 물속도 속속들이 잘 보이고.. 실제 수심이 70미터를 넘어가는 지역이
드물기 때문입니다. 특히.. 배스하시는분들은.. 정말 좋다고들 합니다. 수초인지.. 나무인지..
수초사이에서 노는 배스가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니까요.. 가끔은 자기 낚시줄도 나옵니다. -.-;;
하지만.. 수심깊은 동해로 다니시거나.. 대구낚시 하신다거나.. 빠른속도로 다니시면서 포인트를 탐색하실 때는..
83/200 듀얼이 필요할 것입니다. 출력대비 유효수심도 체크해야 할 부분이구요.
또한 망망대해를 다니면서 포인트 탐색하실라면..낮은 주파수가 옵션으로 달린게 좋을 것입니다.
HDS 시리즈가 괜히 HDS가 아니더군요.. 액정이나 다른 스펙은 하위 모델과 거의 동일한데..
출력 및 수심, 속도 면에서 월등하고 멀티빔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지간한 어군을 다 잡아낼 수 있습니다.
물론 LSS-1 을 옵션으로 넣었을 때 이야기입니다. 그럼 83/200/455/800 을 동시에 쓰게 되니
상당히 넓은 지역을 세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제가 오더한게 아마 빠르면 이번주 안에.. 늦어도 다음주 초쯤 도착할 예정입니다.
이번엔 중간에 포워더를 끼고 확인했으니까는.. 사고는 없겠지요..
사실 비슷한 급수의 허밍버드 제품도 있었는데.. 이게 또 200 /455 , 455/ 800 이렇게 스위칭할 수 있어 장점도 있었으나..
다운 스트럭쳐이미징이 너무 심하게 차이나서 접었습니다....
로렌스가 정밀스케리라고 하면.. 허밍버드는 만화를 보는 느낌.. -.-;;
수심이 걸리긴 하는데 지금까지 광어, 우럭 낚시 다닌 바로 합사로 수심체크한 바.. 마크 시리즈도 충분할것 같습니다.
단.. 광역 탐색이 안되니까는.. 거기에 대한 단점은 또 있겠네요... 대신에 걸리면 확실하게 +_+
써보고 리뷰 올려볼께요.. :)
결론은 주파수 특성을 알고 어탐 고르시면 좋을것 같다는 말씀 :)
'요트,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트의 삼각 돛 원리(맞바람 불어도 순항) (0) | 2013.06.12 |
---|---|
[스크랩] 겔럭시탭 (네비오닉스 깔려있어요)SKT용~~~정상 공기계----겔럭시 노트랑 교환가능합니다~~ (0) | 2013.06.10 |
[스크랩] CE & CLR ... (번역기 사용) (0) | 2013.06.07 |
[스크랩] CE & CLR ... (0) | 2013.06.07 |
[스크랩] 물에 빠진 사람 구할 팔자네- 익수자 발생 시 세일요트의 8자구조법(Figure 8 Rescue) (0) | 201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