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 보완해서 올립니다.
<해무 탈출(海霧 脫出)>
안개가 엄청 꼈습니다. 큰 일 났네요.
한 열흘 전쯤 주말에 마리나항에서 리갈 3260코모도를 타고 풍도 근해로 1박 보팅을 나갔었습니다. 뭍에선 아주 맑고 청명한 날씨라 보팅하기 좋겠구나 싶었는데 바다로 좀 떨어져 나오자 해무가 어물어물 끼기 시작하는 것이 아닌가. 하지만 저녁이 되며 멀리 풍도에서 불빛이 희미하게 흐르고 바닷소리가 찰싹찰싹 일렁이는 고요하고도 낭만적인 밤이었습니다.
헌데 만약 안개가 심하게 끼어 목적지까지 가는데 안전을 기약할 수 없는 급박한 상황이라면 이런 낭만적 모드를 취하는 것은 꿈도 못 꿀 일이겠죠? 이럴 때 노련한 선장들은 어떤 행동을 하고 이런 상황을 위해 평소 어떤 준비를 해 두는지 궁금해서 이것저것 책을 뒤져보고 경험 많은 선장님들께 물어보기도 했습니다. 안개 낀 바다라는 것은 너무나도 흔한 일인데, 안개가 위험하다고해서 목적지로 돌아오지 못하고 안개가 걷힐 때까지 마냥 바다에만 머물러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니까요. 노련한 선장님들은 다음을 꼭 지킨다고 합니다.
1. 출항 전 레이더를 점검하라.
만약 오랫동안 레이더를 사용하지 않다가 출항을 하게 되는 경우라면 Dock을 떠나기 전 반드시 레이더를 점검해 봐야 합니다. 일단 레이더를 켜서 워밍업을 시키고 먼 거리까지 이리저리 쭉 스캔을 해보며 모터나 회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꼭 확인하고 출발해야 합니다. 먼 바다에 나간 이후에 이상 작동이 확인되고, 해무 시에는 GPS도 안되는데 준비해 온 나침반도 없다면 돌아올 길이 막막해 지는 거죠. 그렇다고 배에 레이더를 장착했다고 해서 모든 게 다 해결되는 것은 당연 아니죠. 그 레이더를 제대로 읽는 법을 평소에 정확히 숙지해 놓아야 하겠죠.
2. 속도를 낮춰라.
안개가 끼면 시야가 확 좁아지는데, 통계에 따르면 이런 악천후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사고는 그 상황에 맞지 않게 속도를 과하게 냈기 때문이랍니다. 그렇다면 이럴 경우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최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도 그렇고 동시에 언제든지 멈출 수 있는 속도로 맞추기 위해서 Throttle(조절기)을 되돌리는 것입니다.
3. 항로를 수정하라.
레이더를 켜보면 상선이나 어선들이 지나는 항로가 나타나 있습니다. 당연히 그 길은 피해야겠죠. 그리고 가까운 부표로 갈 수 있는 최단 항로를 따라가세요. 그 부표가, 항해하는 Check Point가 된답니다. 또한 그 부표를 기준 삼아 조류에 밀려가는 것도 감지해서 피할 수 있습니다. 도로에는 각종 신호등과 이정표, 차선, 방어벽 그리고 교통경찰도 있습니다. 바다에도 곳곳에 그런 기능을 하는 시설물들이 있는 것이지요.
4. 경적 울리기
부표에 가까이 접근할 때라든가 어떤 목표물에 다가갈 때면, 다른 배들도 그곳으로 함께 움직여올 수 있으므로 VHF16번으로 무전 교신을 해서 경고를 주거나 경보음을 울려주며 서로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리면 경미한 사고라도 미리 막을 수 있습니다.
5. 오감을 이용하라.
부표나 목표물에 가까이 접근했을 때 엔진을 완전히 끕니다. 그러면 주변의 소리에 더 신속히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것(그것이 무엇이든 간에)을 기준 삼아서 평소에 익혔던 지형이나 지물이 어느 쪽에 있는지를 명확히 보며 확신을 가지고 방향을 잡아 다시 시동을 켭니다. 주변이 안전함을 확인하고 다시 목적지로 향합니다.
6. 레이더를 과신하지 말라.
대부분의 배에는 레이더를 장착하고 다닙니다. 상당히 편리한 기계죠. 이러다 보니, 이런 기계를 지나치게 과신하는 몇몇 선장님들은 시계가 상당히 안 좋은데도 속도를 냅니다. 잘 아시겠지만 레이더는 타겟이 너무 늦게 나타나거나 아예 안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잖습니까. 안개 시 레이더를 사용할 때는 허용치의 최대로 확대해서 정확히 목표물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헐적으로 자신의 배가 목적지로 제대로 가고 있는지를 축소해가며 확인해 봐야 합니다.
이렇게 레이더를 사용하고 속도를 낮추고 경보음을 계속 울려주며 조심스럽게 안전항해를 한다면, 비록 스케줄보다 아주 늦게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다고 해도 결코 헛되지 않은 오히려 좋은 경험을 선사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멋지고 노련한 선장이 되는 과정이라는 얘기죠.
감사합니다.
'요트,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최신형 제뉴57 피트를 속속들이 들여다 본다. 동영상 두편, 특히 세일 오토매틱 시스템 환장하겠네요. (0) | 2012.11.15 |
---|---|
[스크랩] <연재 10> 다가오는 겨울! 내 사랑, 보트의 월동준비와 겨울나기 - 워터라인에 대한 집중 고찰. (0) | 2012.11.11 |
[스크랩] 럭셔리 클래식 요트 상세 건조 과정의 황홀한 풀스토리. (0) | 2012.11.10 |
[스크랩] <연재 8> <장거리 보트 항해를 위한 핵심 사항들과 필수 품목들> (0) | 2012.11.10 |
[스크랩] <연재 - 7> <내 배에 딱 맞는 최적의 연비와 스피드 잡아내기> (0) | 2012.11.08 |